一相無相分 第九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拂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我得阿那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阿那含 名爲不來 而實無不來 是故 名阿那含 須菩提 於意云何 阿羅漢 能作是念 我得阿羅漢道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實無有法 名阿羅漢 世尊 若阿羅漢 作是念 我得阿羅漢道 卽爲着我人衆生壽者 世尊 佛說我得無諍三昧 人中最爲第一 是第一離欲阿羅漢 世尊 我不作是念 我是離欲阿羅漢 世尊 我若作是念 我得阿羅漢道 世尊 卽佛說須菩提是樂阿蘭那行者 以須菩提 實無所行 而名須菩提 是樂阿蘭那行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수다원 명위입류 이무소입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아나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아나함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 명아나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라한 능작시념 아득아라한도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실무유법 명아라한 세존 약아라한 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즉위착아인중생수자 세존 불설아득무쟁삼매 인중최위제일 시제일이욕아라한 세존 아부작시념 아시이욕아라한 세존 아약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세존 즉불설수보리시요아란나행자 이수보리 실무소행 이명수보리 시요아란나행
일상무상분 제구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능히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다.'는 생각을 가지겠는가?”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성인의 류에 든다는 말이오나 실로는 들어간 바가 없습니다. 형상이나 소리, 냄새, 맛, 닿임, 법에 물들지 아니한 까닭에 이름을 수다원이라 할 뿐입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이 능히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다.'는 생각을 가지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은 한 번 갔다가 온다는 말이오나 실로는 가고 옴이 없을 새, 이름을 사다함이라 합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능히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다.”는 생각을 가지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실로는 법이 있지 않은 까닭에 아라한이라 이름할 뿐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아라한이 '내가 아라한과를 얻었다.' 하면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걸리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제가 번뇌와 다툼을 여읜, 삼매를 얻은 사람 가운데에서 가장 제일이라 하셨습니다. 이는 욕심을 떠난 아라한 가운데 제일이라는 말씀이오나 세존이시여, 저는 '내가 욕심을 떠난 아라한이다.' 하는 생각을 갖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아라한도를 얻었다는 생각을 가졌다면 세존께서는 '수보리가 아란나행을 좋아하는 자'라고 말씀하시지 않았을 것이오니, 실은 제가 그러지 않았으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좋아한다.'고 하셨습니다.
수다원 須陀洹 아라한에 이르는 성문聲聞 사과四果의 하나로 첫 번째 단계. 법에 대한 의심이 없어져 성인의 흐름에 들게 되었다 하여 예류預流 또는 입류入流라고도 하며, 일곱 생 안에 해탈에 든다고 함.
성문 聲聞/ 성각 聖覺 부처님 교법에 의지해 깨달아 아라한阿羅漢과에 오르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수행자.
성문사과聲聞四果 사과四果 참조.
사과 四果 소승小乘에서 수행修行의 결과로 얻어지는 네 단계. 과果는 무루지無漏智의 경지. 성문사과聲聞四果, 사향사과四向四果라고도 말함.
1) 수다원須陀洹 (예입(류)預入(流). 잘못된 견해와 의심을 버리고 예류과預流果를 성취한 사람도 악도환생惡道還生을 피해 궁극적인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는 일곱 번을 다시 환생해야 한다고 함)
2) 사다함斯陀含 (일래一來. 이 세상의 욕계欲界에 한 번 다시 태어난다고 함)
3) 아나함阿那含 (불환(래)不還(來). 다시는 인간으로 환생하지 않고 천상天上에 한 번 다시 태어난 다음 열반涅槃에 드는 사람)
4) 아라한阿羅漢 (응공應供/ 응진應眞/ 무생無生/ 불생不生/ 살적殺賊/ 무학無學이라고도 말함. 부처님의 열 가지 이름 중의 하나이며,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四諦의 이치를 깨달아 세상 사람들의 존경을 받을 만한 공덕功德을 갖춘 성자聖者)
사성제 四聖諦 네 가지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 사제四諦라고도 말함.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후 처음 가르치신 교리 중의 하나.
1) 고성제苦聖諦 (미계迷界의 과보果報를 모두 고苦로 돌리는 것)
2) 집성제集聖諦 (고苦는 집착에서 온다는 것)
3) 멸성제滅聖諦 (아집我執과 현상에 대한 집착의 소멸消滅)
4) 도성제道聖諦 (깨달음에 이르는 길, 곧 팔정도八正道)
팔정도 八正道 깨달음과 열반涅槃을 위해 지켜야 할 여덟 가지의 길.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도덕적인 윤리체계가 아니라 깨달음과 열반에 이르는 정도正道인 동시에 확실한 지침서指針書.
1) 바른 견해正見 (팔정도의 기본으로, 사성제四聖諦의 도리를 바르게 관찰하는 동시에 사물의 본질을 올바로 보는 것)
2) 바른 생각正思 (사성제四聖諦의 도리를 바르게 사유思惟, 곧 생각하는 것)
3) 바른 말正語 (정견과 정사유正思惟에 따라 허황된 말과 삿된 말을 하지 않는 것)
4) 바른 행위正業 (정견과 정사유에 따라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
5) 바른 생활正命 (신구의身口意 삼업을 청결하게 지니고 바른 이법理法에 따라 생활하는 것)
6) 바른 노력正精進 (수행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
7) 바른 집중正念 (삿된 생각을 떠난 정신집중)
8) 바른 수행正定 (산란한 생각을 떠난 마음의 안정)
무루지 無漏智 루漏는 샌다는 뜻으로, 번뇌. 따라서 무루지는 번뇌를 떠난 지혜, 곧 깨달음과 열반을 뜻함.
사향사과 四向四果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이 수다원[預類]에서 시작하여 사다함[一來]과 아나함[不還]을 거쳐 아라한阿羅漢에 이르는 네 단계를 말함. 이때 향向은 출발점을 뜻하며, 과果는 도달점을 뜻함.
'종교 비판 > 금강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가 부족함은 지식이 적음이라의 뜻 / 막9:9~13 해설 / 말3:1 해설 (5) | 2024.10.23 |
---|---|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의 뜻 (2) | 2024.10.22 |
소위불법자즉비불법(所爲佛法者卽非佛法)의 뜻 (3) | 2024.10.21 |
일체현성 개이무위법 이유차별(一切賢聖皆以無爲法而有差別) 해설 (1) | 2024.10.21 |
一切衆生悉有佛性(일체중생실유불성)의 뜻 / 방편(方便)의 뜻 (3) | 2024.10.21 |